스마트그리드 12

스마트시티_security

스마트 시티라는 용어가 등장한 이래로 구현된 폭넓은 기술들로 인해 스마트 시티의 정확한 정의를 내리는 것은 어렵다. 하지만 마크 디킨(Mark Deakin)은 스마트 시티의 정의에 기여하는 요소로 (1)지역 및 스마트시티에 광범위한 전자 및 디지털 기술 적용, (2)정보통신기술을 사용한 지역 내 삶과 작업환경의 변화, (3)그러한 정보통신기술을 정부 시스템에 내장, (4)기술이 제공하는 혁신과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보통신기술과 사람들을 하나로 모으는 관습의 제공이라는 네 가지 항목을 제시하였다.[6] 또한 그는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야 하며 스마트시티를 위해서는 그 과정에서 지역 사회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정의했다.[7]

스마트그리드 2020.09.17

냉방에너지 절감기술

에어릭스가 소개한 솔루션은 ▲공장 내 최적의 냉방효과를 얻을 수 있는 IoT 냉난방기 관제 시스템(iRAMS) ▲정밀한 온도 센서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량을 줄여주는 IoT 냉동창고 관리 시스템(iFAMS) ▲24/365 모니터링으로 효율적인 집진기 운용을 돕는 IoT 스마트 집진기(iSDC)다. iRAMS(IoT Room Air Conditioner Monitoring System)은 현장 내 여러 대의 냉방기를 에너지 절감 알고리즘으로 자동 조절해 에어컨 작동이 필요 없을 경우 기기의 전원을 정지해 전력 절감을 유도해주는 시스템이다. 에어컨 온도가 아닌 특정 공간의 실내 온도를 측정해 제어하기 때문에 같은 공간이라도 온도가 높은 곳의 에어컨은 집중적으로 작동시키고, 온도가 낮은 곳에 에어컨은 작동을 중..

스마트그리드 2020.06.10

여름철 냉방에너지 절감방안

[에너지신문] 올 여름철 기온은 평년보다 높고, 전년대비 폭염일수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거, 상가, 업무시설 등 건물 냉방에너지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아울러 최근 실내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등 유해물질 환기의 중요성도 강조됨에 따라 실내 공기질의 쾌적함과 시원함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효과적인 냉방 운전방법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2일 한국에너지공단은 건물 냉방에너지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여름철 실내 공기질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주요 실천방안을 제시했다. 첫째, 사용자의 밀집도와 생활환경에 따른 주기적인 환기를 통한 냉방은 에너지를 절감하고 실내 공기질도 개선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다. 특히 냉동공조인증센터의 ‘에너지사용 제한 절감효과 분석’에서는 문을 열..

스마트그리드 2020.06.10

AMI지능형 전력량 검침 시스템

국내 전력산업은 거센 변혁의 바람이 불고 있다. 기존의 전력망은 전력수요 급증에 대비한 대규모 전력설비 확충이 중요한 정책 목표였다면 이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합리적인 전력소비, 신재생 에너지로 전환,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등으로 수요관리의 중요성이 강조 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전력설비의 첨단화 및 디지털화를 통한 지능형 전력망으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 실정이다. 지능형 전력망은 지능형 검침 인프라(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중에서 지능형 전력망 인프라를 구성하는 가장 핵심이 되..

스마트그리드 2020.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