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전기설비

최대수요전력제어

조명 _사무실,가정,업소 인테리어조명 취급합니다. 2019. 3. 23. 12:00


전기에너지수요관리논문.hwp

 

 

1. 최대수요전력 관리 장치란?

- 사용자의 최대수요전력을 감시 또는 예측하여 목표전력을 초과할 우려가 있을 경우 단계적인 부하차단(제어)을 통하여 목표전력 범위 내에서 전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

2. 최대수요전력 관리장치의 필요성

- 냉․난방기 시설 설치에 따른 전력소비량 급증

- 검침 당월을 포함한 직전 12개월중 7.8.9월 및 검침 당월 중의 최대수요전력(Peak)을 기본요금으로 적용하기 때문에 최대수요전력(Peak)을 최대한 억제하여 기본요금을 절약하여 공공요금 절감 하고자 함.

※ 최대수요전력이란 : 15분(수요시한) 동안의 평균전력

3. 용어정리

1) 목표전력 :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전력

2) 기준전력 : 15분 중 현재 진행되고 있는 수용시간의 기준이 되는 전력

(목표전력까지 가장 짧은 거리를 갖는 전력 중에서 현재 수요시한의 전력을 의미)

- 기준전력 [㎾] = (목표전력 /설정수요시한(15min))× 현재시간(min)

3) 진행전력 : 0초에서 현재 진행중인 수용시간까지 사용된 전력량

4) 예측전력 : 진행전력이 15분(수요시한)까지 도달했을 경우 예상되는 전력

- 예측전력 [㎾] = [현재전력량 +(단위 시간당 사용전력량의 변화량)*남은수 요시한(min)]/수요시한(min)

5) 현재부하량(현재전력) : 수요시한 시작 후 현재까지의 사용된 전력을 나타냄

6) 수요시간 체크 : 15분(수요시한 900초)중에서 앞으로 남은 시간

7) 최대수요전력 : 최대수요전력치 표시

4. 동작원리

- 15분간의 평균전력이 최대수요전력이므로 일시적인 큰 부하가 발생하여도 디맨드 시한의 나머지 시간 동안에 부하를 차단하게 되면 최대수요전력을 목표 값에 맞출 수가 있다

5. 유지관리요령

- 주기적인 모니터링으로 적정한 목표값을 선정하고 최대수요전력이 목표값을 넘지 않도록 세심한 관찰이 필요(관리자 지정)

- 3차 경보가 작동한다는 것은 설정한 목표전력에 비해 많은 부하가 가동되고 있기 때문에 이 경우는 목표전력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하절기와 동절기 목표전력을 다르게 셋팅 - 보편적으로 동절기가 약간 높음)

- 전력제어기 주변 청결로 오동작 방지

 

6. 유지관리시 유의사항

- 피크제어 관련 케이블(통신선포함)에 꼬리표나 라벨지를 부착하여 다른 통신선과 구별이 확실히 되도록하고 관계자외는 만지지 못하도록 『촉수금지』 라벨지를 부착

- 중앙제어용 PC에 설치된 프로그램은 담당자를 지정하여 관리토록 하고, 담당자는 운영요령을 숙지하여 오동작 발생시 관련업체에 연락하여 보수가 곧바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피크제어 비정상적인 작동 시, 전기요금 과다부과 및 향후, 기본요금에 책정 되므로 냉난방기가 전체적으로 운전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담당자는 매일 디멘드 프로그램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며, 매월별로 디멘드 프로그램의 피크값을 확인하여 피크값이 설정된 ㄷ이내에 있는지 확인한다.

- 피크제어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는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설치하여 쉽게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고,

- 이 컴퓨터를 신규로 교체시 반드시 프로그램을 신규 컴퓨터에 설치하여 피크제어시스템이 원할이 관리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최대수요전력제어기(SDC-500)

최대수요전력제어기(Demand Controller)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력을 예측, 감시하여 설정된 목표 전력을 넘지 않도록 부하를 자동으로 차단, 투입시켜 주는 장치로 전력요금 절감 뿐만 아니라 합리적 부하 관리를 통해 설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기입니다.

첨두부하관리

ESS, 빙축열 활용,부하조절

전기에너지수요관리논문.hwp
0.04MB

'건축전기설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상문제  (0) 2019.04.13
과전압 및 절연협조 진행파  (0) 2019.03.23
정격전압 공칭전압 접촉전압  (0) 2019.03.21
공부방법  (0) 2019.03.14
자격증공부 문제분석요령  (0) 2019.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