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전기설비

예상문제

조명 _사무실,가정,업소 인테리어조명 취급합니다. 2019. 4. 13. 14:24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예상문제

 

1 CT의 정격부담과 과전류정수에 대해 설명.

2. 비접지식 수전설비(특고압)의 지락보호방식과 CLR 대해 설명.

3. 축전지의 충전방식과 균등충전에 대해 설명.

4. 저압선로의 Cascading 보호방식의 가장 중요한 요소에 대해 설명.

5. 전력콘덴서용 차단기 선정 시 유의사항에 대해 설명.

6. 전력자동화 설비에 대한감시, 제어대상, 시스템 기능을 설명.

7. 중, 대형 변전실의 면적 산출 식에 대해 설명.

8. 고압선로 이상에서 단락전류 억제대책을 설명.

9. 선로의 고조파 장해대책을 설명.

10. 변압기 용량 산정 시 수용률 및 부등률에 대해 설명.

11. 저압 선로의 누전차단기원리, 종류 및 시설방법에 대해 설명.

12. 저압 콘덴서 용량을 구하는 식을 들어 의미 설명.

13. 기계식보호계전기, 정지 형 보호계전기 및 디지털 형 보호계전기의 특성을 비교 설명.

14. 초대형 건축물의 수변전 방식에 대해 설명.

15. 건축물에 낙뢰발생시 뇌 서지 보호대책을 외부와 내부로 나누어 설명.

16. 도심지에 위치한 대형건축물의 접지계통 설계 시 유의 할 사항을 열거하고 설명.

17. 3상4선식 22.9kV 다중 접지계통에 변압기용량 3000kVA 수전 시 수전설비의 주요 구

성요소와 기능을 설명.

18. Δ-Y결선변압기에 대한 보호계전방식으로 비율차동계전기를 사용하는 경우계전기용변류

기는변압기결선과반대로결선된다. 그 이유에 대해 설명.

19. 구내 배전방식에 있어서 22kV 비접지방식과 22.9kV 직접접지방식의 특성을 비교하고

보호방식에 대해 설명.

20. 대형 변전소 접지 망 설계 시 고려할 사항에 대해 설명.

21. 고 전압기기의 충격전압시험, 유전정접시험 및 부분방전시험에 대해 설명.

22. V결선 변압기의 이용률이 86.6% 됨을 설명.

23.특고 선로에서 주 변압기 결선방식 선정 시 고려할 사항에 대해 설명

24.선로의 전압강하율과 전압변동률을 비교 설명.

25.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전기기계기구의 사용전압과 대지전압에 대해 설명.

26 차단기정격이 BIL 150 kV, 정격차단전류 20 kA 인 경우 이 차단기의 차단용량을 계산

하고 그 이유를 설명.

27.기존 변압기와 아몰퍼스 변압기의 특징을 설명.

28.특고 선로의 CNCV 케이블에 대해 설명.

29.100마력 이하 유도전동기의 직입기동 시 기동전류가 크고 역율 이 저하 하는 이유를 설

명.

30.①3배광법 설명

②구역공간법 설명

③감광보상률 설명

- 2 -

④광손실율 설명.

⑤조명단위 설명.

⑥방지수 설명.

⑦조명률 설명.

⑧조명관련 법칙 설명.

⑨타운젠트 방전 설명.

⑩스트리머 방전 설명.

31.북한의 발전설비 현황, 운전 현황과 향후개발 전망에 대해 설명.

32.대용량변전소를 설계 할 때 변전소의 설계 및 기기시방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항목별로 설명.

33.도로조명에는 연속조명과 국부조명 이 있다. 각각의 설치장소, 조명방식, 광원, 조명기구

의 배열방법에 대해 설명.

34.등온 완화 전류기법에 의한 전력케이블의 열화진단법에 대해 설명.

35.변압기를 절연냉각 매체에 따른 종류로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을 설명.

35.중성선에 영상분 고조파전류가 많이 흐르면 변압기, 중성선 및 중성점의 대지전위에 어

떤 영향을 주는 가를 설명.

36.GIS (Gas Insulated Switchgear) 기기의 열화 원인, 열화과정 및 열화진단 방법에 대해

설명.

37.전력 원 단위의 개념을 설명하고, 공장에서 원 단위전력량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

38.내화전선과 내열전선의 차이점을 설명.

39. 단락 사고 시 전동기의 기여전류 설명.

40.배전자동화의 기능과 시스템운용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설명.

41.조명설비에서 에너지 절감 요소를 설명.

42.건물 내 배전선의 보호방식에 대해 설명

43.음의 잔향시간에 대해 설명.

44.권선 형 유도전동기와 농형 유도 전동기의 기동방법에 대해 설명.

45.LASER 프린터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

46.전기시계의 자 시계 구동원리에 대해설명.

47.자동화재 탐지 설비에 사용되는 축적 형 수신기에 대해 설명.

48.Phone과 Decibel 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

49.소방법규 상 자동화재 탐지 설비의 설치대상이 되는 소방대상물을 열거.

50.누전경보기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

51.직류직권전동기의 속도 및 토크특성과 용도에 대해 설명.

52.주소 형 감지기 (Addressable Analog Sensor) 에 대해 설명.

53.컴퓨터 노이즈의 발생원과 전달경로를 설명.

54.동축케이블과 광섬유케이블에 대해 설명.

55.Spot Network수전방식에서 Network Protector의 기능과 Network Protector의 오동

작 및 그 방지 대책에 대해 설명.

56.조기 화재감지용으로 사용되는 초 미립자 검출감지기에 대해 설명.

57.다음의 컴퓨터 용어를 설명.

①Multi-Tasking System

- 3 -

②CAE

③MIS

④GIS

58. Intelligent Building의 내용, 등급, 기능 및 설계 시 고려사항에 대해 설명.

59.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경계구역에 대해 설명.

60. 자동화재 탐지설비에서 비 화재보의 원인과 대책에 대해 설명.

61.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설치기준, 전원 및 구비조건에 대해 설명.

62. 농형 유도전동기에 대해 다음사항을 설명.

① 전 전압 기동이 곤란 한 이유

② 콘돌퍼 기동방식

③ 기동방식 선정 시 고려사항.

63.연건평 25000m2인 25층 Office Building의 엘리베이터 대수와 속도를 설계.

64. 근거리 통신망 (LAN)의 구성요소와 연결형태에 대해 설명.

65. Intelligent Building에서 OA 기기 오동작의 원인과 대책을 설명.

66.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P형수신기와 R형수신기를 비교 설명.

67. Gapless 피뢰기의 특성을 설명.

68, 인텔리전트빌딩의 통신설비에서 DDX망의 교환방식 중 회선교환방식과 패킷교환방식의

특징을 설명.

69. 조명에서 눈부심 (Glare)의 원인과 그 영향에 대해 설명.

70. 위성통신에 장해를주는 다음 용어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

①지연시간

②위성식

③태양잡음

④강우감쇄

71. 변압기의 시험항목을 10가지 이상 열거.

72.물체의 보임의 조건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

73.자동화재 탐지설비에 사용되는 이온화식 연감지기의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

74.아파트의 높이가 8층이고 층 당 4세대씩인 경우 공청안테나 설비에 대해 설명.

① 안테나 설치위치 선정 시 고려사항을 열거.

② 설치도면 도시.

③ 신호레벨다이어그램 도시.

75. 에너지 절약형 조명설비 설계 시에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설명.

76. 보호계전기의 정정은 보호계전기의 동작조건을 설정하는 작업으로 보호계전시스템의 성

능 확보에 있어서 중요하다. 보호계전기의 정정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3가

지를 들고 각각에 대하여 설명.

77.직격뢰에서 뇌격방전의 과정과 뇌격전류와 뇌격거리의 관계에 대해 설명.

78.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방식의 종류를 열거하고 각각에 대해 설명.

79,컴퓨터 저장장치 중 광자기 디스크에 대해 설명.

80. SVC (Static Var Compensator: 정지형무효전력보상기) 와 Static Condenser (전력용콘덴서)

의용도를 기술하고 양자간의 차이점을 비교 설명.

81.변압기 내부 보호방식중 차동보호방식에 대하여 이 방법을 적용 할 경우 문제점 및 그

- 4 -

해결방법에 관해 설명.

82.터널조명에서 입구부조명, 기본부조명 및 출구부조명을 구분하여 설명 .

83. 역율 개선용 콘덴서의 설치위치와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

84.변압기의 온도상승 시험에서 실부하법, 반환부하법 및 등가부하법 을구분하여 설명.

85.무정전전원장치 (UPS)에 관해 다음을 설명.

①기본구성 요소를 열거하고 구성도를 도시

②인버터 회로방식에 대해 설명

③인버터의 용량산정 시 고려사항에 대해 설명.

86..비상용엘리베이터 설명.

①설치목적

②설치기준

③전원

④구비조건.

87.초전도 변압기의 개발 현황에 대해 설명.

88.전력용 변압기의 신 기술 및 개발 동향에 대해 설명.

89.열전 발전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의원리 및 신 기술동향에 대해 설명.

90.자동이도 (弛度: Dip) 억제 장치에 대해 설명.

91.건축전기설비 설계기준에서“건축전기설비” 의기본적인 역할을 설명.

92.동적 전압강하 보상기 (DVR : Dynamic Voltage Restorer) 에대해 설명.

93.변압기의 온도상승시험에서 등가부하법에 대해 설명.

94.다음 조명용어를 설명,

(1) TAL (2) PSALI(3) TPO

95.난연케이블 (Flame Retardant Cable) 에 대해 설명

96.가시광선에서 선 스펙트럼, 대상스펙트럼 및 연속스펙트럼에 대해 설명.

97.다음 용어를 설명.

(1)페닝효과.

(2)퍼킨제효과 .

98.휘도(B)와 광속발산도(M)의 의미를 설명하고, 완전확산성 구형광원에서 M=πB의 식 이

성립 함을 증명.

99.동시통역설비에 대해 설명.

100.발광효율, 전등효율, 기구효율에 대해 설명.

101.복합형 공동주택의 전기설계 시 고려사항을 기술.

102.눈부심 (Glare)의정의, 눈부심의원인, 눈부심의영향, 눈부심의한계, 눈부심의종류에대해

설명.

103.건물의 주차관리 설비에 대해 설명.

104.종합정보통신망 (ISDN)의 의미와 그 교환방식 및 특징을 설명.

105.방전관이 자속방전을 하기 위한 조건과 파센의 법칙을 설명.

106.변압기의 여자돌입 전류에 의한 비율차동계전기의 오동작 방지대책에 대해 설명.

107. 피뢰기 특성을 나타내는 아래 용어를 간단히 기술하고, 피뢰기 선정 시 고려 할

사항과 피뢰기 성능의 우수성을 나타내는 것은 무엇인지 설명.

- 5 -

(1) 정격전압(2) 제한전압(3) 상용주파방전개시전압

108.CV Cable의 열화 원인과 그 대책을 설명.

109.경보시스템의 개발동향과 향후전망에 대해 설명.

110.명시조명에서 좋은 조명의 조건에 대해 설명.

111.비상발전기용 원동기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설명.

112. 3상3선식비접지계통에설치된개방델타형영상변압기 (GPT)의 2차측 상 전압이 110V일

때 a상이 완전지락 된 경우 GPT의 개방단자에 나타나는 전압은 몇 [V] 인가.

113.변압기의 이행전압에 대해 설명.

114.변압기의 온도상승시험에서 등가 부하 법에 대해 설명

115.A-D (Analogue-Digital)변환기에 대해 설명.

116.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방식중 2차 여자에어방식에 대해 설명.

117.동기전동기의 기동토크, 인입토크 및 탈출토크에 대해 설명.

118.건물 내에 전화용 배관 배선 설계 시에 유의사항을 설명.

119.에너지절약형 조명 설비를 열거하고 설명.

120.조명기구의 유지보수와 조명 비 계산에 대해 설명.

121.비상용발전기의 원동기로 사용되는 디젤엔진과 가스터빈엔진의 특성을 비교 설명.

122.전동기운전에서 에너지 절약방법을 설명.

123,조명설비에서 조도저하의 원인과 대책에 대해 설명.

124.자동화재 탐지설비의 경계구역에 대해서 소방설비기술 기준규칙을 설명.

125.조명기구의 최근 동향에 대해 아는 바를 설명.

126.Intelligent Building에서 OA장비 오동작의 원인과 그 에 대한 대책을 설명.

127.공항에는 야간에 비행기의 안전 한 착륙을 위해서 여러 가지 항공등화 시설이 설치 되

어있다. 이들 항공등화의 종류를 들고 설명.

128.농형 유도전동기에 대해 다음사항을 설명.

(1) 직입기동이 곤란한 이유

(2) 콘돌퍼 기동방식의 동작원리

(3) 기동방식 선정시 고려사항

129.조명설계의 실무기법 중 다음을 설명

(1)High Lighting 기법

(2)Wall Washing 기법

(3)Grazing Lighting 기법

(4)Shadow Play 기법

(5)Silhouetting 기법

(6)Up Lighting 기법

(7)Down Lighting 기법

(8)Sparkle 기법

130.전동기의 속도제어 방식중 벡터제어에 대해 설명.

131.연산증폭기 (Operational Amplifiers : OPAMP)의구성과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

132,나트륨유황 (NAS) 전지에 대해 동작원리, 특징, 용량 및 전압에 대해 설명.

133.반구상 접지전극의 접지저항이()로 표시되 는 것을 증명하고,

대지저항률의 측정법을 설명.

- 6 -

134.전자파가 생체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대해 설명

135.이온방사형 광역피뢰침 (ESE: Early Streamer Emission Air Terminal)에 대해 설명

136.낙뢰 계수기의 설치 위치 및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

137.유입 변압기의 기계적인 보호계전기 두가지를 설명.

138.퍼센트 임피던스와 차단기의 차단용량에 대해 설명.

139.어떤 변압기의 효율이 80% 부하에서 최대가 되었다면 전부하에서 철손과 동손의 비는

얼마인가를 설명.

140.TV의공백채널 (Blank Channel)설명

141.CATV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변환기 (Converter)설명.

142.통신위성의중계기 (Transponder)설명.

143. CATV설비에 사용되는 Head End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

144.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용어 중에서 Stretch Re-level에 대해 설명.

145.전자파, 가시광선 및 가시광선의 스펙트럼에 대해 설명.

146. Weber-Fechner 의 법칙을 설명.

147. 일반 형광등에서 발생되는 고조파에 대한 대책

148.전구의 주요 성능을 나타내는 요소

149. Switching Regulator 설명.

150.전압 인가에 수반되는 열화현상 설명.

151.물체의 보임의 조건에 대해 설명.

152.대형공원이나 역사의 광장조명 기획에 있어서 다음사항을 고려 할 경우 상세히 설명.

(1) 고압 수은등사용

(2) 메탈 핼라이드등 사용

(3) 고압 나트륨등 사용

(4) 조명기구 선정

(5) 절전방안

153.방폭 전기설비의 전기적 보호방식을 설명.

154.변압기에서 철손과 동손이 같을 때 효율이 최대가 되는 것을 설명.

155.병원 조명설계의기본개념 (Concept) 에 대해 설명.

156.조명용 각종 광원의 특성 및 용도를 설명.

157.열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전열기술에 대해서 설명.

158.연면적 100,000 m2 인 월드컵 주 경기장의 전기설비 설계에 대해 설명.

159.전기 화재의 원인에 대해 상세히 설명.

160.Eco-material 케이블에 대해 설명.

161.초 세관형 형광램프의 특징을 설명.

162.분산형 전원을 계통에 연계하여 사용 할 때의 문제점과 대책에 대해 설명.

163. 4점 Wenner 법에 의한 대지저항률 측정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

164.전해질 접지봉 (Electrolytic Grounding Rod)에 대해 간단히 설명.

165.전기화재 징후 검출장치 (EFSI : Electric Fire Symptom Indicator)에 대해 아는 바를

설명.

166.재래식 교통신호등과 LED 교통신호등을 비교 설명

167.아크차단기 (Arc Fault Circuit Interrupter)에 대해 아는 바를 설명

- 7 -

168. Demand Controller의 기능과 효과에 대해 간단히 설명.

169. 헤드스페이스법을 적용한 유입변압기의 유중가스 분석방법의 원리를 설명.

170. 부등률과 부등률 상실에 대해 설명.

171. 다음 경우의 영상전압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각 한가지씩 설명.

(1)주변압기가Y 결선 일 때

(2)주변압기가Δ결선일 때 또는 주변압기가 없을 때

172.방사속 (radiation)과 광속 (luminous flux)의 차이점을 설명.

173.형광등의 플리커 제거방법과 역율 개선 방법을 설명.

174.심야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

175.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자식교환기(EPBX: Electronic Private Branch Exchange)

의 기능을 열거하고 설명.

176.컴퓨터 사용되는 운영체제 (Operation system)와 응용프로그램 (Application

Program)에 대해 설명.

177.보상식 스포트형 열감지기의 구조와 동작 원리를 설명.

178.리니어모터 (linear motor) 의 구동원리와 특성상의 장단점을 회전형 전동기와 비교하

여 설명.

179.동기 전동기의 출력 식을.유도.

180.병원의 정보시스템에 대해 설명.

181.전기가열의 특성과 전기 가열방법의 종류를 설명.

191. ESE 피뢰침설비의 접지 방법에 대해 설명.

192. 역율 조정방법과 역율 조정으로인 한 이익 3종류를 들고 설명..

193. GIS (Gas Insulated Switch-gear)의 장점을 열거하고 설명.

194.직류 분권전동기의 속도 특성, 토크 특성 및 용도에 대해 설명.

195.단상 유도전동기 기동방식의 종류를 열거하고 설명.

196.고압케이블의 활선 진단법의 종류를 들고 그 원리를 설명.

197. 전자계 (電磁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아는 바를 설명.

198.고층빌딩 엘리베이터 설계시 건축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199.엘리베이터용 전동기 용량 산정 방법

200.엘리베이터 전원용 변압기 용량 산정 방법

201.비상콘센트에 대해서 설명.

202.전력선을 이용한 종합정보 통신기술에 대하여 아는 바를 설명.

203.폭발성가스 또는 증기가 체류하거나 체류할 우려가 있는 위험장소는 0종, 1종및 2종장

소로 구분한다. 이들 위험장소에 대해 간단히 설명.

204.고 효율전동기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 설명.

205.변압기의 온도상승 시험에서 등가부하법에 대해 설명.

206.변압기의 이행전압에 대해 설명.

207.방전등의 페닝 효과에 대해 설명.

208.4E 계전기는 어떤 고장을 보호하기 위한 계전기인지 설명.

209.엘리베이터의 운전방식에 대해 설명.

210.에스컬레이터의 대수를 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밀도율을 설명.;

211.테브난의 정리와 노톤의 정리를 비교 설명

212.변압기의 여자돌입 전류에 의한 비율차동계전기의 오동작 방지대책에 대해 설명.

213.차단기의 정격투입 전류와 투입용량에 대해 설명 .

214. CRT (Cathode Ray Tube) 모니터의 동작원리에 대해 설명.

215, 슬림라인 형광램프에 대해 설명.

216. 가스절연변전소 (GIS)의 장단점을 설명.

217. 수변전 설비에서 신뢰도 항상을 위한 계통구성방법에 대해 설명.

218. 복합형 공동주택의 전기 설계시 고려사항을 설명.

219. 방폭 전기설비의 전기적 보호방식을 설명.

220. 유도전동기의 전기적 제동방식의 종류를 들고 설명.

221. 컴퓨터 및 정보통신기기의 전자파방해 (EMI) 및 그 대책에 대해서 설명.

222. 노이즈방지용 변압기의 구조 및 특징에 대해 설명.

223. 차단기의 Trip Free기능에 대해 설명.

224. 기체방전에서 파센 (Paschen)의 법칙을 설명.

225. 직류전동기를 여자방식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을 설명.

226. 케이블의 절연재와 외장재에 대하여 설명.

227. 진상용 콘덴서의 제어방식에 대해 설명.

228. Broken Delta Transformer를 이용한 GPT (Ground Potential Transformer) 2차측

1상의전압이 110V 일때 전원 1차측 한 상이 완전지락 되었을 때 개방단자에 나타나는 전

압은 몇 V인가?

229.가시광선의 스펙트럼에서 선스펙트럼, 대상스펙트럼 및 연속스펙트럼에 대해 설명.

230. 고주파 부분방전 (High Frequency Partial Discharge) 시험에 대해 설명.

231. 사무실 조명설비의 에너지 절약 방안에 대해 설명.

232. 전기설비의 절연열화진단에서 LCM (Life Cycle Management) 에 대해 설명.

233. 전자식 전력량계의 구성에 대해 간단히 설명.

234. 방전관에서 자속방전을 하기 위한 조건을 설명.

235. 배전반의 최근 동향에 대해 설명.

236. 에코메터리얼 케이블 (EM : Eco-Material Cable) 에 대해 설명.

237. 애자의 열화를 검출하는 방법에서① 적외선 영상장치에 의한 애자열화 진단 방법과 ②

고주파 잡음에 의한 애자열화 진단방법에 대해 설명.

238. 수변전설비의 설비 계획 순서를 간단히 설명.

239. 터널조명의 광원, 조명방식 및 조명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

240. 전력 다 소비시설물의 에너지 절약형 수 변전설비 설계 방안에 대해 설명.

241. Intelligent Building에서 OA 장비 오동작의 원인과 대책을 설명.

'건축전기설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고층 건축물 설계  (0) 2019.05.22
연돌현상  (0) 2019.05.16
과전압 및 절연협조 진행파  (0) 2019.03.23
최대수요전력제어  (0) 2019.03.23
정격전압 공칭전압 접촉전압  (0) 2019.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