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칭좌표법 일반사항
가. 개요
3t상 단락고장처럼 각 상이 평형된 고장에서는 고장점을 중심으로 여기에 인가된 전압과 임피던스를 구해서 쉽게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상이 불평형이 되는 1선지락과 탕은 불평형 고장에서는 각 상에 걸리는 전압을 따로따로 구해야 하는데 실제적으로는 이것이 그 해를 구하기가 어렵워진다. 따라서 대칭좌표법(불평형 3상전류의 각 상을 영상전류, 정상전류, 역상전류 등 새로운 Vactor로 치환, 이를 이용하여 고장전류를 구하는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서는 불평형문제를 다룰 수 없다.
대칭좌표법은 불평형의 전류나 전압을 그대로 취급하지 않고 일단 그것을 대칭적인 3개의 성분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대칭분이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의 계산을 실시한 다음 마지막으로 그들 각 성분의 계산결과를 중첩시켜서 실제의 불평형인 값을 알고자 하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계산도중에는 언제나 평형회로의 계산만 하게 되고 각 성분의 계산이 끝난 다음 이들을 중첩함으로써 불평형 문제의 해가 얻어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