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향신기술

SI단위

조명 _사무실,가정,업소 인테리어조명 취급합니다. 2019. 12. 15. 22:14

 

 

SI 역사적 배경

 

프랑스어 'Le Systeme Intenational d' Unites'에서 온 약어로서 '국제단위계'를 가리킨다.

이 국제단위계는 우리가 흔히 '미터법'이라고 부르며 사용하여 오던 단위계가 현대화된 것이다.SI의 시초는 프랑스 혁명 시기인 1790년경 프랑스에서 발명된 "십진 미터법"이다. 이 미터법으로부터분야에 따라 여러 개의 하부 단위계가 생겼으며 이에 따라 많은 단위들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그 한예가 1874년 과학 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해 도입된 CGS계이며, 이는 센티미터, 그램, 초에 바탕을 두고있다. 1875년 17개국이 미터협약(Meter Convention, 또는 미터조약 Meter Treaty라고도 부름)에조인함으로써 이 미터법이 국제적인 단위 체계로 발전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하겠다.

SI 의 특징

 

전 세계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단위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시작되었고 국제적인 공동노력의 결과로 이루어진 SI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몇 가지 기본단위를 바탕으로 하여 이들의 곱이나 비의 형식으로 모든 물리량을 나타내는 일관성 있는체계를 형성하므로 다른 체계와의 혼합에서 오는 공식내의 인자들이 없어지게 된다.

여기서

"일관성(coherent)"이라는 표현은 1 외의 어떤 다른 수치적 인자 없이 순전히 SI 단위 끼리만의곱하기와 나누기로 이루어진 단위의 체계라는 의미이다. 배우기와 사용하기가 쉽다. 위에 설명한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일정한 규칙만 알고 그에 따라 적용하면 되므로 배우기와 사용하기가 쉽다.

양(量)의 체계 와 단위

 

SI 단위와 함께 사용되는 양의 체계는 국제표준화기구/기술위원회 12 (ISO/TC 12)에서 다룬다.

ISO/TC 12는 1955년 이래 양과 그 단위에 관한 일련의 국제표준을 발행해 왔으며 국제단위계의

사용을 적극 권고하고 있다, ISO는 이들 국제표준에서 길이, 질량, 시간, 전류, 열역학적 온도, 물질량

및 광도의 일곱 개 기본단위에 해당하는 일곱 개의 기본량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물리량의 체계를

채택하였다. 그 외의 양들, 즉 유도된 양들은 이들 일곱 개의 기본량들에 의하여 정의되며, 이들 유도된

양과 기본량과의 관계는 하나의 체계를 이룬 방정식들로 표현된다. 이러한 양들과 방정식들의 체계가

SI 단위와 함께 적절하게 사용된다.

'신경향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 자동차가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싸지는 시점  (0) 2020.01.16
수요반응시장 개편2020  (0) 2019.12.23
4차산업혁명시대 전력시장  (0) 2019.12.11
수소연료전지 동향  (0) 2019.11.17
4차산업혁명  (0) 2019.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