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도서 관리
1. 준공도서 관리
1.1 목적
건설사업관리자는 공사준공 및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해 작성되는 준공 설계도서를 관리하는 절차와 기준을 규정한다.
1.2 적용범위
건설사업관리자의 시공단계에서 준공도서 작성기준, 준공도서 검토, 인계 업무를 수행하는데 적용한다.
1.3 업무절차
1.3.1 준공도서 작성기준
건설사업관리자는 건설공사 계약사항 및 다음의 사항을 참조하여 준공도서 작성기준을 작성하고, 이 기준에 따라 공사 준공 3개월 전에 준공도서 제출 요청공문을 발송한다.
1) 준공도서의 범위
(1) 준공도면
(2) 공사 시방서
(3) 준공 내역서
(4) 각종 계산서 및 산출서
(5) 각종 인허가 사항
2) 준공도서 CD 및 마이크로필름 제작 기준
(1) 준공도서 사본 작성지침 적용
3) 준공도면 작성기준
(1) 시공자와 협의를 거친 후 유지관리지침서를 사전 검토 후 제출
(2) 확약내용과 조치내용을 간략히 집계하고 조치결과 자료를 첨부
(3) 각 분야별 시운전 계획에 따라 시운전 결과를 문서로 제출
(4) 실제 시공한 부분의 시공상세도 반영
(5) 표준도 등으로 설계된 공종은 실 시공 치수 기재
(6) 설계변경에 따른 도면 수정과 반영 여부 확인
(7)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지상 구조물에 대한 이격거리로 표시
(8) 공사 중 수행한 기존 시설물의 개조, 재설치, 위치이동 등의 상세도
(9) 공사 중 설치한 가 시설물의 매몰 위치, 수량 등의 상세도
(10) 굴착 범위 및 되 메우기 재료 등에 대한 사항
(11) 굴착, 매립, 용수 등 지반조건에 대한 특기사항
(12) 기타 규정하는 사항
1.3.2 준공도서 검토
1) 건설사업관리자는 준공도서를 작성하는 시공자가 준공 1개월 전 실시하는 예비준공검사 전에 준공도서를 제출토록 한다.
2) 건설사업관리자는 시공자가 제출한 준공 설계도서를 준공도서 작성기준 및 설계 제작기준에 따라 적절히 작성되었는지 검토․확인하고, 수정이 필요한 부분은 통보하여 변경토록 한다.
1.3.3 준공도서 인계
건설사업관리자는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운전지침서 및 공사전반에 대한 준공도서와 예비준공검사 결과 등을 인수․인계 문서와 함께 발주자에게 인계한다.
1.4 관련자료
1)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기본계획
2) 준공도서 사본 작성지침
'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설계·감리 분야에도 종합심사낙찰제 도입론 (0) | 2019.12.04 |
---|---|
LCC란 (0) | 2019.09.15 |
건설관리CM의역할 (0) | 2019.05.26 |
9. 전력시설물 공사감리에서 기성검사의 목적, 종류,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19.04.11 |
설계감리원이 수행하여야 할 업무범위는 (0) | 2019.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