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뢰및 접지

피뢰기 노화 진단 방법

조명 _사무실,가정,업소 인테리어조명 취급합니다. 2019. 7. 26. 20:49

 

피뢰기 노화 진단 방법

★ 피뢰기 진단

피뢰기 정비점검은 주로 순시점검을 통한 외부점검이 대부분이며, 보통 점검은 절연저항, 누설전류 등의 측정시험이 주체가 된다. 정밀점검은 이상이 발견된 경우 필요에 따라 방전개시전압, 동작개시전압 측정을 한다. 다음은 전력계통에서 사용되는 갭부착피뢰기와 갭이 없는 산화아연형 피뢰기의 노화진단 현상 측정방법이다.

 

(1) 갭부착 피뢰기의 진단

가) 전연저항측정:피뢰기의 현지시험으로 오래전부터 실시돼 온 것으로 일반적으로 1000V 절연저항계를 사용해 직렬갭의 절연특성, 분로저항 및 특성요소의 저항치를 측정한다. 중첩식 피뢰기는 유니트마다 절연저항을 측정해 각 유니트의 불량을 판정할 수 있다.

나) 누설전류측정:이 시험은 보통 규칙상 대지전압에 있어 누설전류의 변화에 따라 절연상태의 불량을 결정하는 시험이다. 주로 직렬갭의 분로 저항체크를 위해 실시되는 것이나 분로저항 이외의 절연부가 열화한다거나 흡습에 의해 절연이 저하됐을 경우에도 기기를 정지시키지 않고 수시로 체크할 수 있는 방법이다.

갭부착 피뢰기의 부설전류는 일반적으로 운전 개시때 측정한 초기치를 기준으로 해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그 변화 상태에 따라 불량을 판정한다. 애자형 피뢰기의 측정치는 외관표면의 누설전류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후(비, 습도 등)와 표면의 오손에 대해 충분히 주의해 측정할 필요가 있다.

다) 방전특성시험:직렬갭의 방전특성은 흡습, 노화나 분로저항의 변화에 의해 변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임펄스발생장치를 이용해 정기적으로 방전특성을 측정하는 현지시험법이 있다.

 

(2) 산화아연형 피뢰기의 진단

가) 절연저항측정:갭이 있는 피뢰기와 같이 생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000V 절연저항계를 사용해 ZnO소자 및 지지절연물의 저항치를 측정한다.

나) 누설전류측정:산화아연형 피뢰기에 상시 흐르는 전류는 대부분이 용량성으로 저저항분 전류는 일반적으로 수㎂~수10㎂이기 때문에 발열은 거의 없고 긴 수명이 기대된다. 그러나 소자 및 지지절연물 등의 노화·흡습의 경향을 보기 위해 누설전류는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4 서지보호기

(1) 서지보호기의 구성

1) 서지보호기의 성능

서지보호기는 전원선 및 신호선에 침입하는 각종 이상전압에 노출돼 있어 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해 부하에 안정된 전원 및 신호를 공급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크기가 크고 급준한 파형의 특성을 가진 임펄스성 이상전압에 대해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서지보호기 자체도 충분한 절연내력과 에너지 내량을 갖고 있어야 한다.

각종 설비의 서지 보호를 위해 설계·제작된 보호기는 크게 전원용과 신호용으로 구분하고, 신호용의 경우 신호의 양상과 신호선의 형태에 따라 데이터/신호보호용 서지보호기, 동축 신호보호용 서지보호기로 구분된다.

'피뢰및 접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용접지  (0) 2019.10.31
접지선 굵기 산정기초  (0) 2019.10.16
고층빌딩,철근콘크리트 건물 접지 및 피뢰설비  (0) 2019.05.22
피뢰설비의정의  (0) 2019.04.13
접지저항저감방법  (0) 2019.04.04